top of page
세계.png
글씨 테두리 프레임.png
은거울_지도.png

​수도, 엘레부르크

성지, 하셴

​대도시, 칼리아라

은거울_마크_1.png

united kingdom of Ithelonea

​이셀로네아 연합 왕국

수도 |   엘레부르크 (북부의 행정수도)
건국년도 |  서기 100년
화폐단위 |  이셀리온, 데나리온, 셀링
종교 |  유일신교 '에인 소프교'
언어 |  로망스어를 기본으로 하는 영어
국가 체계 |  봉건제 연합 왕국

 

(* 이셀리온 : 금화, 기본 단위. 현재 가치 약 10만 원. 
데나리온 : 은화, 주사용 거래 단위. 현재 가치 약 2만 원.

셀링 : 동화, 잔돈. 현재 가치 약 5천 원.)

A. 지형적 특징
 

    이셀로네아 연합 왕국은 여러 개의 갈라졌던 나라들이 하나의 종교 하에 연합하여 세워진 왕국이며, 북부, 서부, 남부의 기후가 극명하게 나뉩니다. 영주의 자치권이 보장되는 봉건제 사회로, 도시마다 담당하고 있는 역할이 분리되어 있고 영주 간의 세력 다툼이 극심하며 왕권이 약합니다. 이 특징은 이셀로네아의 다양한 기후와 지형에서 비롯됩니다.

(*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설명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B. 사회적 특징
     

   1. 종교

     영원한 신비, 유일신 '에인 소프'를 통한 구원을 믿는 ‘에인 소프교’ (Ein Sof Church) 를 국교로 삼는다. 에인 소프교의 교리에 따르면 인간은 신이 직접 만든 피조물이나 신의 권위를 넘보는 죄를 저지르고 낙원에서 쫓겨나 원죄를 가지게 되었다. 약 1000년 전 신의 아들인 무명(無名)이 가장 낮은 곳에서 태어나 전국을 떠돌며 설교를 했다. 네 이웃을, 사회에서 소외되는 사람들을 사랑해야 한다는 설교는 그 당시로는 위험할 정도로 새로웠으며 무명은 33세라는 젊은 나이로 십자가에 묶여 화형당했다가 사흘 만에 잿더미 속에서 부활하여 승천하였다. 우리의 원죄 또한 신의 아들인 그가 모두 짊어지고 같이 불태워졌다. 이 떄문에 에인 소프교의 상징물은 나무 십자가. 미사를 드리며 성당마다 신부가 존재한다. 신부는 남자만 될 수 있으며 결혼이 가능하다.

      무명이 서쪽의 하셴에서 태어났기에 이 곳이 종교적인 수도가 되었으며 강력한 정치적 영향력을 가진 이가 바로 하셴의 대주교이다. 다만 북부는 살기 힘든 환경 때문에 종교에 비관적인 면이 있으며 남부는 기복신앙적 면모가 강하고 세르메네스 쪽의 다신교를 믿는 민간신앙이 암암리에 퍼져 있다.

(* 에인 소프교는 기본적으로 크리스트교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기본적인 명칭과 여기에 기술된 점 외의 거의 모든 요소는 크리스트교와 동일합니다.)

 

    2. 은거울의 노래

      은거울은 국가의 기원설화이기도 하며 또한 국가의 상징이자 보물이기도 하다. 무명이 16살 때 호수에 직접 나타난 성부 에인 소프와 대화를 나눈 후 그 곳에서 자신의 이름을 버리고 신의 아들로서 '무명'이 되었다. 에인 소프가 직접 현현한 그 호수의 바닥에는 전에 없던 은광이 생겼기에 호수 이름은 '은거울'이 되었다. 이셀로네아 연합 왕국이 형성된 후 그 호수에서 나온 은으로 거울을 만들어 국보로 보관하고 있는데, 그 은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는 사람들은 언젠가 한 번은 삶의 '신비'를 경험하게 된다고 한다.


   3. 정치제도

      이셀로네아는 봉건제 연합 왕국으로 북부, 서부, 남부가 따로 각자의 자치권을 가지며 내전의 가능성 또한 언제든 존재한다. 국왕(대공)과 중앙관료, 영주와 기사 계급이 대부분의 정치를 이끌어나간다. 나라 전체를 흔들 만한 사안에 대한 최종 결정권은 북부의 국왕에게 있으나 견제 장치로서 반란과 탄핵이 존재하기 때문에 왕은 여론을 절대 무시할 수 없다. 여태까지 반란이 두 번 이루어져 왕조가 세 번 바뀌었다.

 

 

   4. 계급제도

 

 

 

 

 

 

 

 

 

 

 

 

 

 

 

 

 

 

 

 

 

     § 국왕

      단 한 명의 국왕이 존재한다. 내전이 잦은 연방 왕국의 특성상 여태 왕조는 두 번 바뀌었으며 현재 근 400년을 북부 왕조가 이어가고 있다. 국왕은 모든 영주들에 대한 소집 및 통솔권, 국가적 중대 사항에 대한 최종 결정권을 가진다.

 

      § 대공 (대주교)
      국가의 삼분의 일에 대한 자치권을 행사하는 대공이 있다. 현재 이셀로네아의 실질적 대공은 칼리아라와 베로나의 대공 한 명 뿐이며, 서부 하셴 대공의 직위는 약 500년 가량 명예직이고 실질적 권력을 하셴 대주교가 차지하고 있다. 대공은 지방의 영주들에 대한 소집 및 통솔권, 세금 징수권, 지방의 중대 사항에 대한 최종 결정권, 군대 통솔권을 가진다.

 

      § 영주

      대공과 국왕의 통솔 하에 중소규모 영지를 통솔하는 이들이다. 각자의 군대가 있고 본인의 영지에서 나오는 세금에 대한 징수권을 가진다. 영주의 권리는 세습되나 평민이 큰 전공을 세우면 소규모 영지를 하사받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영주가 큰 잘못을 저지를 경우 영지를 빼앗기고 평민으로 강등되는 경우도 있다.

 

      § 기사와 관료
      국왕, 대공이나 영주를 가까이에서 보좌하는 이들이다. 기사의 경우 남자와 여자 모두 될 수 있는데, 법적인 대리권을 가지는 정식 기사는 남자가 맡는 편이며 여성 기사는 용병 형태의 계약직으로 많이 고용되는 편이다. 관리는 아카데미에서 행정/법률/의학/경제에 대한 실질적 교육을 맡은 사람이 임명되며, 영주의 관료에서 출세하면 국왕과 대공이 주관하는 중앙정부의 관료로 승격되어 강력한 권력을 손에 쥘 수 있다. 사실상 평민 출신이 작위를 쟁취하기란 대전쟁에서 공을 세우거나 하는 드문 일이 아니면 힘들기 때문에 기사와 관료가 웬만한 시민들이 출세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이다.

 

      § 일반 시민
      일반 시민이다. 농업, 상업, 광업, 공업, 목축업 등 다양한 직종에 종사한다. 막대한 부를 가진 부유한 시민들은 기사나 관리보다 실질적 지위가 높은 경우도 있다. 이 중 영주의 영지에 묶여있는 이들은 농노라 칭한다. 영주의 영지에 묶여 세금을 내고 영주의 땅을 경작해야 하지만 이들 또한 법적으로 시민이고 매매가 불가능하며 사유재산도 가질 수 있다. 공식적으로 이셀로네아에는 노예 계급이 존재하지 않는다.


    5. 교육 제도

      지역마다 아카데미가 따로 있다. 국비로 교육을 지원하므로 누구나, 원한다면 농노의 자식이라도 지원해 출세를 노려볼 수 있다. 대신 치열한 경쟁을 뚫고 선발되어야 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미리 무술이나 행정 교육을 받은 귀족 가문의 자식이 쉽게 들어간다. 이 곳에서 무술이나 행정, 법에 대한 교육을 받으면 중앙 관료, 기사가 될 수 있다. 이 외에 소규모 영주의 관료, 기사는 아카데미 출신이 아니라 사회에서 어느 정도의 지식을 갖춘 경력직을 뽑기도 한다.

(* 이셀로네아는 중세 후반 - 르네상스 초반의 남서부 유럽을 모티브로 하는 국가입니다.)​

가계도 폰트 반전후.png
수정한 지도 (반전버전).png
수정한 지도 (반전버전).png

C. 대외관계

-
      1. 이셀로네아 - 세르메네스

      주요 무역국이자 외교국인 동시에 대립국입니다. 두 개의 호수를 사이에 두고 붙어 있는 만큼 자주 충돌하며 우호관계였다가 적대관계였다가를 몇백 년 내내 반복해 왔습니다. 이셀로네아는 세르메네스에서 향신료, 당에서 온 비단, 과실 등을 수입하고 모피, 금속, 보석, 밀 등을 수출합니다. 기본적으로 정계에 진출을 하려면 외교 문제로 인해 세르메네스가 사용하는 아랍어를 능통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할 정도로 세르메네스의 비중울 중요하게 여기지만 각자 서로의 이득을 위해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고 있습니다. 몇 년 간 칼리아라의 해적들이 세르메네스 항구를 습격하여 물건을 약탈하고 사람들을 끌고 가는 일이 자주 일어나고 있습니다. 해적 뿐만 아니라 상단마저 이에 동참한다는 소문이 돌아도 이셀로네아 주정부와 남부 대공이 가타부타 말을 하지 않아 국제 관계가 악화되는 가운데 세르메네스에서는 이셀로네아의 이런 명백한 약탈 행위에 대해 강경파와 온건파로 파가 갈렸다는 소문이 돌고 있습니다. 강경파가 원하는 것은? 바로 전쟁입니다.

 

      2. 기타 국교

  • 이셀로네아 - 북부 빈란드 : 북부에 위치한 민족은 자신들을 '바이킹'이라 칭하며, 호전적이고 잔인하여 이셀로네아를 자주 약탈합니다. 강력한 군사력을 가진 북부의 국왕이 이들의 침략을 막고 있습니다. 몇백 년 간 이셀로네아 북부 분쟁 발생의 주원인으로 적국으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공식적인 외교는 없습니다.     

  • 이셀로네아 - 남부 : 남부에 위치한 대륙은 고온건조한 기후로 인구 밀도가 낮고 부족 단위로 생활하여 개인 무역 외의 외교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외교 단위도 세르메네스와 남부의 교역에 비하면 적은 편입니다. 남부에는 피부가 검은 사람들이 살며, 이들은 남부 칼리아라와 베로나에서 무역을 하고 삶의 터전을 이루기도 합니다.

  • 이셀로네아 - 동북부 황무지, 당 왕조, 하리얀카 : 거의 아무런 교류가 없습니다. 가끔 당의 도자기와 비단, 하리얀카의 수목과 상아가 사치품으로 들어오기는 하나 세르메네스를 통해 들어오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당에는 피부가 복숭앗빛이고 머리가 검은 사람들이 산다는 정도만 알려져 있습니다.

뒤로가기.png
은거울_로고.png
보석.png
world.png
notice.png
apply.png
synop.png
syst.png
bottom of page